2022 -

Fish Eggs

⟨Fish Eggs⟩, ⟨Calling⟩, and ⟨The Creator⟩ are three individual works with connectivity. This series of works provides an experience of recognizing the world that has been built around individuals and the world of others, cracking the boundaries of that world, and creating a new worl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non)human and (non)living in a creative position. -Hwi Jae, Lim (Art criticism)

⟨Fish Eggs⟩, ⟨Calling⟩, ⟨The Creator⟩ 세 개의 개별 작품은 연결성을 지닌 하나의 작품으로,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왔던 세계를 인식하고, 타자의 세계를 인정하고, 그 세계의 경계들을 허물며, 창조주의 위치에서 (비)인간, (비)생명체의 구분 없이 새로운 세계를 탄생시키는 체험을 제공한다. -미술비평 임휘재

When I, who had grown up in a religious household and regarded a limited truth as the only reality, encountered a crack in the wall of certainty, my turning point took the form of 'chaos.' Through that rift, witnessing the celebration of 'truth' entering, I found myself asking, 'Why should there be only one truth as the true reality?' Or perhaps, it might have been, 'Why have I believed in only one truth for so long?'

Belief shapes the world, and conviction fortifies the walls of that world. Just as when you peer into a fish egg, you might find a beating heart and busy pupils, we, too, gaze out into the world through the walls of our respective worlds. Here, 'eggs' can represent individuals, groups, ideologies, or technologies. Each world, in its own right, is beautiful, but failing to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ese worlds and their boundaries can lead us to impose our world's rules onto others. These large and small bubbles create countless boundaries by their very existence and, by their presence, thicken the walls.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these many worlds and boundaries is crucial. The presence of consciousness always accompanies boundaries, so rather than fearing these boundaries, we need an attitude that flexibly adapts to them. For instance, in the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worlds, creating chaos through mutual questioning is better than fortifying rigid walls. This interaction doesn't mean blindly clashing with the walls but rather creating cracks in each other's barriers, generating doubt. This is related to the movements of pupils that constantly and perplexingly respond to the audience or robots that adjust their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cracks created by the audience. Such interactions can sometimes lead to conflicts but also have the potential to foster understanding.

Once you realize the presence of boundaries, one way is to blur those boundaries and float beyond them. It involves questioning the walls we hav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built and traversing those boundaries. It's about experiencing, in virtual reality, the subtle overlaps between what we perceive as 'real' and 'not real,' 'self' and 'not self,' 'material' and 'immaterial.' By exploring these places where the boundaries we've habitually accepted subtly intersect or expand within that world, you may have experiences that seem to project consciousness beyond rigid thought. Such experiences are vital because a world without the projection of consciousness naturally fades away.

Therefore, I embrace 'chaos.' It symbolizes human vulnerabilit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collapse and reconstruction. Being in the midst of chaos could mean that you are experiencing appropriate friction and expansion. My experience of breaking out of one eggshell was 'Babel' itself and the 'sin' of 'doubt,' but ultimately, it became a catalyst for understanding and opened doors to acceptance and the expansion of horizons.

- Artist's Note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라나 한정된 진리를 유일한 세계로 인지하던 내가 세계의 막에 의심의 균열을 가한 순간, 나의 변곡점은 ‘혼돈’의 형태로 찾아왔다. 그 균열을 통해 들어오는 ‘진리’의 향연을 보며 나는 ‘왜 한 가지 진리만이 실재여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했다. 혹은 ‘왜 그동안 한 가지 진리를 실재라고 여길 수 밖에 없었나?’ 라는 질문이었을 수도 있다.

신념은 세계를 생성하고 확신은 그 세계의 막을 단단케 한다. 물고기 알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 심장이 뛰고 두 눈동자가 바쁘게 움직이는 것처럼 우리 또한 각자의 세계 속에서 그 세계의 막을 통해 밖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여기서의 ‘알’은 개인, 혹은 집단이 될 수도 있고 이념 혹은 기술이 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세계들은 그 자체로 아름다우나 이 세계와 막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면 나의 세계에서 통용되는 규칙을 다른 세계의 주체들에게 강요할 수 있다. 이 크고 작은 방울들은 존재 자체로 수없이 많은 경계를 만들고, 존재해 감으로 그 막을 두껍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이 수많은 세계와 막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단추임을 제시한다. 의식의 존재는 항상 경계를 동반하기에 이 경계에 대한 두려움을 갖기보다는 유연하게 주무르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세계와 세계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혼돈을 창조하는 것이 단단한 막을 쌓으며 단절되어 가는 것보다 낫다. 여기서의 상호작용은 단단한 막을 무작정 부딪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막에 균열을 가해 의심을 생성해 내는 것이다. 이는 끊임없이 관객을 따라 혼란스럽게 반응하는 눈동자들이나, 관객이 가하는 균열에 요리조리 방향을 바꾸는 로봇들의 움직임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개체 혼자서는 이루어질 수 없고 때때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이해로 확장될 가능성을 창조하기도 한다.

경계의 존재를 인지했다면 그 경계를 흐리게 만들어 그 너머를 유영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쌓아 올린 막에 물음표를 던지고, 그 경계 위를 횡단해 보는 것이다. ‘실재’로 인지하고 있는 것과 아닌 것, 나로 정의 하는 것과 아닌 것, 물질과 비물질로 단정하는 것 등, 우리가 인습적으로 체득해 온 경계 사이에 미묘하게 중첩되는 곳, 혹은 그 세계 속에서 팽창되는 또 다른 세계를 가상현실 속에서 몸으로 체험하다 보면 경직된 사고 바깥으로 의식이 돌출하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매우 중요한데 의식의 돌출이 없는 세계는 자연스럽게 도태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혼돈’을 긍정한다. 그것은 인간의 연약함의 상징이기도 하며 붕괴와 재건의 계기를 마련한다. 혼돈의 한 가운데 있다는 것은 당신이 적절한 마찰과 팽창을 경험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하나의 알을 깨고 나온 나의 경험은 ‘바벨’ 그 자체였고 ‘의심’이라는 ‘죄악’이었으나, 결국에는 이해의 계기가 되었고 포용과 확장의 창을 열었다.

-작가노트 중

 

Artworks